KPSA 한국프로스포츠협회

PDF 보기
현재호 목차보기
이전호 보기

현재호 목차보기

이전호 보기

초개인화

Hyper-Personalization

초개인화란 고객의 상황과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고객의 니즈를 예측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초개인화 서비스의 발전 속도는 가속화되었다. AI 기술을 활용한 초개인화 서비스의 확신은 고객의 기대를 혁신적으로 충족시키며, 급기야는 기업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 요소로 자리잡았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브랜드 충성도를 극대화하고,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도구로써 톡톡히 역할하기 때문이다.

AI 에이전트

AI Agent

생성형 AI의 진화의 최신 단계로, 자율적으로 데이터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고, 액션까지 취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말한다.

멀티모달 AI

Multimodal AI

인간이 다양한 감각기관으로 사물의 양상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모달리티)를 처리하고 통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말한다.

초맥락화

Hyper-Contextualization

사용자의 위치, 시간, 감정 상태, 과거 행동, 주변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최적화된 정보나 경험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개인화를 넘어 ‘그 순간에 가장 적합한’ 맥락(context)을 반영하는 기술과 전략을 의미한다.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어 미래를 미리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기술로, 스마트 공장, 스마트 도시, 헬스케어 등 현실세계의 사물, 시스템, 프로세스를 가상 환경에서 동일하게 구현한 디지털 복제본을 의미한다.

소버린 AI

Sovereign AI

소버린은 ‘자주적인’, ‘주권이 있는’으로 자국의 정책이나 자원에 대한 독립적인 통제권을 뜻한다. 이에 소버린 AI는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및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AI를 구축하는 국가의 역량을 의미한다.

필터 버블

Filter Bubble

인터넷이 이용자의 관심사와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이용자가 보고 싶어 하는 정보만 제공하는 현상으로, 개인은 점차 고정관념과 편견이 강해지면서 ‘확증편향’의 성향을 가질 수 있다.

물리 AI

Physical AI

CES 2025에서 엔비디아 젠슨 황 CEO의 연설로 화제가 된 물리 AI는 휴머노이드 로봇·자율주행차와 같은 물리적 기기에 탑재되는 AI를 의미한다. 2022년 오픈AI가 생성형AI 시대를 열었다면, 미래 AI 시대는 물리 AI가 이끈다는 분석이다.

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국내에선 삼성 TV 플러스, LG 채널이 해당한다.

스트림플레이션

Streamflation

스트리밍(Streaming)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단어로, 넷플릭스, 유튜브 등 스트리밍 업체들이 구독료를 올리는 현상을 말한다.

코드 커팅

Cord-cutting

유료방송 시청자가 가입을 해지하고 인터넷 TV, OTT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