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SA 한국프로스포츠협회

Vol. 17 2025

무해력

Harmless Power

무해력이란 작은 것, 귀여운 것, 서툴지만 순수한 것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해로움이 없고, 자극이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며, 굳이 반대하거나 비판할 이유를 주지 않는 것을 일컫는다.
출처: <트렌드 코리아 2025>

IP

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으로, 창작물이나 발명 등 지적 창작물에 부여되는 재산적 권리를 뜻한다. 기술 발전과 콘텐츠 창작이 활발해지면서 지적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별다꾸

별걸 다 꾸민다의 줄임말로, 기존의 ‘다꾸(다이어리 꾸미기)’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다이어리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양한 사물을 자신의 개성과 취향에 맞게 꾸미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고맥락·저맥락 문화

High-context and low-context cultures

미국의 인류학자 에드워드 홀(E.T.Hall)은 의사소통의 이론을 정리하면서 “고맥락(high-context) 문화와 저맥락(low-context) 문화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고맥락 문화는 작은 의사소통 제스처를 활용하고 간접적인 메시지 내의 의미를 부여하는 간접적인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여준다. 저맥락 문화는 반대로 작용한다. 전달되는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명시적 언어 기술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고맥락 문화권은 일본, 대한민국, 중국 등 동아시아권, 아랍, 남유럽, 라틴아메리카 국가들 정도가 거론된다. 반면 저맥락 문화권은 영미권, 독일, 네덜란드 정도가 거론된다.

바블헤드

Bobblehead

인형의 목 부분이 스프링으로 되어 있어서, 살짝 건드리면 인형 얼굴이 건들건들한다. 주로 봉제가 아닌 PVC 피규어에 많다.

박스깡

박스채로 구매해 안에 든 상품을 일일이 까보는 행위

AI 에이전트

AI Agent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작동하며, 환경을 인지하고 학습하여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지능형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흔히 챗봇으로 불리는 생성형 AI는 사용자로부터 명시적 지시나 질문을 받아야만 작동하지만, 에이전트형 AI는 능동적이다.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할 경우 시스템과 연동해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 에이전트

Meta Agent

여러 개의 독립적인 AI 에이전트를 연결하여 협력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시스템

가챠

일종의 뽑기로, 미국 캡슐토이의 일본식 표현이다. 캡슐 토이 자판기에 동전을 넣고 레버를 돌리면 나는 소리, ‘가챠가챠(ガチャガチャ·철컥철컥)’에서 유래했다.

저속노화 식단

Slow-aging

노화 속도를 천천히 늦출 수 있게 만드는 음식을 말하는 것으로, 통곡물에 채소, 과일, 콩, 견과류 등 건강한 식품으로 구성된다.

몬스터월

Monster Wall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우측 외야 펜스에 8m 높이로 국내 최초로 도입됐다. 높이가 매우 높아 타자 친 홈런 타구를 잡기 어렵게 만들어 마치 괴물(몬스터)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